이게 다 출근 때문이다
1.
키보드 소리와 한숨 소리가 반복해 들려오는 사무실. 우렁찬 전화벨이 울릴 때면 몸이 절로 움츠러든다. 가뜩이나 지난달부터 회사의 대표전화를 넘겨받는 바람에 애먼 사람들의 전화를 받는 일이 잦아졌다. 평균적으로 통화하는 시간과 그들에게서 받는 스트레스도 대폭 늘었다.
마음 같아서는 귓구멍에 노이즈캔슬링 성능이 빵빵한 이어폰을 박아놓았다며 전화벨을 모른 척하고 싶지만, 꼬두바리 자리에 착석한 탓에 미적거릴 여유가 없다. 전화벨이 채 두 번 울리기도 전에 수화기를 들고 애써 반가운 톤으로 인사를 건넨다.
"안녕하세요, **사입니다."
이내 수화기 너머로 목소리가 들려온다. <생활의 달인>을 보면 15년간 같은 일을 해온 달인이 초인 수준의 썰미를 가지고 있던데, 전화 셔틀 3년 차에 접어든 덕분인지 첫 마디로도 대강의 견적이 나온다.
통화시간이 5분 이상 소요될 사람인가, 15년도 전에 절판된 책의 내용이 잘못되었다며 다짜고짜 화를 낼 작자인가, 어찌하여 내 원고를 채택하지 않느냐며 담당자의 전두엽 회로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게 맞는지 몹시 궁금하다는 호기심 천국 빌런일 것인가. 이런 전화를 받을 때면 ‘문의하신 내용은 제 담당이 아니라서요. 허허’라며 다른 부서로 전화를 넘겨버리곤 전화선을 냅다 뽑아버리고 싶은 심정이 된다.
2.
불행인지 다행인지 발신처는 경영지원부였다. 경영지원부로부터 전화를 받는다는 건 제출한 계약서에 오류가 있다거나 지출 결의서를 작성한 내용이 틀렸다거나, 아무튼 네놈이 뭔가를 잘못했다는 의미였다. 뒤통수를 긁어대며 지난주에 뭘 잘못했는지 고민하던 차에 경영지원부의 S대리님은 나긋나긋한 목소리로 말했다.
“파주 씨, 혹시 편집부에 강석우 작가님과 미팅한 분 있는지 확인해 주겠어요? 법인카드 사용내역은 있는데 결재가 올라오지 않아서요.”
일단 내 잘못 때문에 전화한 게 아니라서 다행이었고, 생각보다 손쉬운 일이라서 안심했다. 한껏 신이 나 앞쪽에 앉은 팀원부터 뒤쪽에 앉은 다른 팀의 과장님에게 강석우 작가의 행방을 해맑게 물었다.
“혹시 강석우 작가님과 미팅하신 분 있을까요? ^^”
단톡방까지 동원하여 강석우 작가와 미팅한 당사자를 찾아다녔으나 범인은 찾을 수 없었고, 살짝 풀이 죽은 채로 경영지원부 S대리님에게 이 소식을 전했다.
애석하게도 S대리님이 요청한 건 ‘강석우 작가와 미팅한 사람’이 아니라 ‘강서구에서 미팅한 사람’을 찾는 일이었다. 그럴 리 없지만 문 2개와 계단 너머의 경영지원부에서 7인분의 웃음소리가 들려오는 듯했다. 큰 웃음을 판 대가로 더 큰 수치심을 샀다. 사건 이후 한동안 경영지원부를 드나들 때마다 ‘양석우(양서구) 작가님은 만나셨어요?’라는 놀림을 받는 건 덤이었다.
3.
문제는 이런 우스꽝스러운 사건이 한두 번이 아니라는 거다. 사오정처럼 사수의 이름 부르는 팀장님의 말에 냉큼 대답하는 건 부지기수였고, 한 번에 지시사항이 5개를 넘어가면 복수 정답이 있는 객관식을 풀듯 몇 개를 선택적으로 골라 실행하기도 했다. 빌런 독자가 우려했던 대로 내 전두엽 어딘가에 이상이 생긴 건 아닐까? 오메가3를 하루에 서너 개씩 삼켜도 회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고 만 걸까.
댄 벨스키 미국 듀크대 교수팀의 연구에 의하면 사람은 26세부터 노화가 시작된다고 하던데(진짜다), 마침 첫 취업 시기와 딱 맞아떨어졌다. 노화와 출근의 시작점이 맞물리며 이 몸뚱이가 본격적으로 맛탱이가 가기 시작한 건 그때부터였다.
강석우 작가의 행방이 일종의 트리거가 되어 이 사달이 난 원흉을 책망하기 시작했다. 출근만 생각하면 뒷골이 쑤시고 빡치더라, 주말에는 말짱하던 몸이 왜 평일만 되면 골병이 들까, 만병의 근원은 스트레스라 했거늘 스트레스의 근원은 항상 회사가 아니었던가.
Credit
글 | 파주
그림 | 미드저니로 제작
발행일 | 2020년 9월 16일
*이 에세이는 풀칠레터 10호 : 이게 다 출근 때문이다에 실린 글을 일부 수정해 재업로드 한 글입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다른 필진의 코멘트도 같이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다른 이야기도 읽어보고 싶으신가요?
풀칠레터를 구독해 주세요.
매주 수요일 자정, 평일의 반환점에
새로운 이야기를 메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Copyright ©풀칠 All Rights Reserved
읽는 마음을 내어주셔서 고맙습니다.